[게임 산업] 중국정부의 게임산업 규제에 가능성에 대하여

2021. 8. 4. 10:45투자 일지

반응형

 중국정부가 게임을 "정신의 아편"이라 규정하며 강력 규제를 예고했다고 한다. 덕분에 전세계 게임주에 핵폭탄 투척. 특히 최근 검은사막의 중국 판호를 발급받은 펄어비스가 직격탄. 그리고 중국의존도 높은 위메이드도 타격받았다. 

 

 중국관련주 투자는 꼭 정부리스크를 고려해야 한다. 2017년 사드 경제보복때 중국정부는 한국제품 쓰지말라는 보복지침을 내렸다. 중국인민들이 정부의 방침에 잘 따라가는 사람들이라 현대차, 아모레퍼시픽 등에 제대로 타격을 줬다. 당시 한국 화장품이 중국에서 잘 팔고 있어 무한 상승가도였는데 찬물을 제대로 끼얹었고, 아모레퍼시픽은 아직도 그때 주가의 반토막 수준에서 거래 중. 현대차도 중국에 많은 투자를 했는데 이때를 기점으로 손해 제대로보고 중국 생산을 대폭 줄이고 있다. 

 

 이번에는 물론 우리나라를 타겟으로 한 것은 아니지만 게임이라는 산업자체에 직격탄을 날린 것이다. 아마 꽤 오랜기간동안 게임산업을 규제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 일단 해당 기사는 삭제되었다고 하지만 아니 땐 굴뚝에 연기날리 있나? 추후 중국정부 정책기조를 지켜봐야겠다. 당분간 중국 게임주 촉수엄금 필요하다. 

 

"게임은 정신적 아편" 게임에 칼 뽑은 中, 게임주 일제 하락(종합)

  • 이수호 기자, 승인 2021.08.03 11:38

 

 중국 정부의 입장을 대변해온 경제참고보가 "게임산업이 '정신적 아편'과 같아, 관리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낸 가운데, 게임산업 관련주가 일제히 패닉셀에 직면해 이목이 쏠린다. 미중 무역분쟁이 악화되고 있는 가운데, 청년층 고용 악화와 저출산 이슈까지 더해지자 중국 당국이 인터넷 기업에 대한 규제 고삐를 죄는 모습이다.

 

6개월새 반토막난 텐센트...中 게임주 악화일로 

 3일 증권가에 따르면 오전 11시 기준, 중국 홍콩 시장에 상장한 게임주 대부분 큰폭의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대장주인 텐센트의 경우, 전 거래일대비 10% 빠지며 올초 고점대비 반토막 수준까지 밀렸다. 

 

 아울러 넷이즈와 XD 또한 전거래일대비 각각 12%, 14% 급락하며 투심이 급격히 악화된 모습이다. 국내 게임주 또한 중국 수출 수혜주로 꼽혔던 펄어비스와 썸에이지 등이 5~10% 가량 낙폭을 키우고 있다. 

 

 이날 급락은 중국 당국의 기관지 역할을 맡고 있는 경제참고보가 게임산업에 대한 부정적 기사를 내놓은 영향이 컸다. 해당 매체는 "텐센트의 대표작 왕자영요의 경우, 설문조사 결과 거의 절반에 달하는 학생이 하고 있다"면서 "미성년학생의 온라인 게임 중독 현상이 심각하고 미성년자의 건강한 성장에 영향이 매우 크다"고 지적했다. 특히 모바일게임을 '신형마약'에 빗대어 "어떤 산업, 어떤 경기(게임/스포츠 등)도 한세대를 파괴하는 방식으로 발전하면 안된다"며 "처벌의 강도도 같은 속도로 쫓아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근 중국 정부는 자국 빅테크 기업들에 대한 단속을 이어왔다. 올해 초 중국 규제당국은 반독점 위반을 근거로 알리바바에 27억5000만달러(약 3조1500억원)의 벌금을 부과했다. '중국판 우버'라 불리는 디디추싱 또한 국가 안보 위반 혐의로 조사를 받았고, 지난 4일에는 모든 앱 마켓에서 디디추싱 앱이 퇴출됐다. 

 

 아울러 텐센트발 인터넷 기업 인수합병도 금지된 것으로 전해진다. 현지시간 지난 10일 관영 신화통신 등 외신은 중국 시장규제당국(SAMR)이 텐센트의 후야(Huya)와 도우위(Douyu) 인수합병을 금지했다고 보도한 바 있다. 이에 대해 텐센트는 성명을 통해 "규제당국의 결정을 따라 모든 규제요건들을 준수하겠다"며 "적용 가능한 법 내에서 기업을 운영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겠다"고 밝힌 상태다.

 

공산당 체제 지켜야...사교육도 혼쭐났다 

 이같은 규제 분위기는 게임산업을 재편하려는 중국 공산당의 정책기조 탓이다. 앞서 중국 정부는 지난 2018년 게임산업 주무부처를 광전총국에서 공산당 휘하 선전부로 바꾸고, 인터넷·게임산업에 대한 규제정책을 공식화했다. 게임뿐만 아니라 인터넷산업을 대거 규제해 젊은층 사이에서 커지고 있는 '반시진핑 정서'를 뿌리뽑겠다는 것이다. 

 

 7월 들어선 사교육 규제를 공식화하고 고강도 규제책을 내놨다. ▲사교육 기관에 더 이상 영업허가를 내주지 않을 것이고 ▲기존 사교육 기관을 비영리 법인으로 전환하며 ▲사교육 관련 기업의 상장과 M&A를 통한 자금 조달이 금지되고 ▲온오프라인을 통한 사교육 광고가 금지되며 ▲사교육 기관의 주말, 공휴일 및 방학 기간의 교습 또한 금지됐다. 

 

 이같은 규제는 오는 2025년 중국이 고령화사회(65세 이상 인구 7%)에서 고령사회(14%)로 진입하고, 저출산과 고령화 추세가 빨라진 탓이다. 중국과 미국의 노동 인구비율이 역전될 수 있다는 중국내 경고가 지속되자, 학령층 확보를 위해 고강도 규제를 꺼낸 것이다. 

증권가의 한 관계자는 "중국 내 7월 통계국 PMI지수가 예상치를 하회하고, 미중 무역분쟁이 격화되는 와중에 출산율까지 저하되자 관련 규제를 강화하는 모습"이라며 "규제 우려 속 온라인 서비스, 부동산 관련주의 낙폭이 확대된 점도 한국 증시에 부담 요인이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수호 기자 lsh5998688@techm.kr

 

출처1: https://www.techm.kr/news/articleView.html?idxno=86804

반응형